728x90
300x250
728x170
안동..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라고 불리는 안동입니다.. 안동에 관해서는 긴 말이 필요없을 정도로.. 역사적으로 가치있는 고장이지요.. 안동민속박물관 일대를 둘러보고... 안동시내까지 뚜벅뚜벅 발길을 옮겨봅니다. 물론 버스도 있지만.. 물길을 따라 불어오는 바람이 참 좋더군요.. 아무튼.. 저는 '신세동 칠층전탑' 앞에 멈춰섭니다.

이것이 그 이름하여 '신세동 칠층 전탑' 입니다. 웅장합니다.. 탑의 높이는 16.8m.. 기단 폭은 7.75m 입니다. 이 탑이 있는 동네가 '법흥동' 인것으로 미루어.. 8세기 통일신라시대에 처음 건립되었다는 '법흥사'가 있었던것으로 추측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탑 이외의 유물은 남아 있지 않습니다.

탑을 가까이 보겠습니다.. 기존에 흔히 보던 탑들과는 좀 다릅니다.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은 벽돌로 만들어진 탑입니다. '전탑' 이라는 것이 흙벽돌을 쌓아 올려 만든 탑을 말합니다.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전탑입니다. 국보 제16호 입니다. 지붕에 기와를 얹었던 자취가 있는 것으로 보아 목탑을 모방하여 전탑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탑의 기단부에는 사천왕상과 8부중상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기단 위쪽을 시멘트로 발라 놓았더군요.. 허허.. 참으로 안타까웠습니다.. 탑 옆으로 철도가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아래 보실 '임청각' 도 그렇지만.. 문화유산 옆에 철길이 지나간다는게 보기 좋지는 않았습니다. 나름의 사정이야 있겠지요.. 그래도.. 탑은 철길의 진동에 영향을 받을 것 같아 염려스럽습니다.

시멘트가 보입니다.. 그런데 저 하얀 문(?)의 정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검색을 해보니.. 탑 1층에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만들어 놓았고, 그것을 막아 놓은 것이라고 합니다.

아래에 사람들과 탑의 모습이 비교가 됩니다.. 오른쪽으로는 철길이 지나가고 있구요.. 왼쪽은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입니다. 이때는 문이 잠겨 있어서 들어가보지는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 탑이 왠지 낯익은 분이 계실듯 합니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지요.. 1박2일에 1년전쯤에 나왔거든요.. OB 팀이 통장 비밀번호 먼저 알아내서 용돈 3만원 찾았었죠..

석양을 뒤로하고.. 아래 임청각으로 가봅니다.

전탑에 이어서 '임청각' 을 찾아갑니다.. 사실 임청각에 대해서는 아무바가 전혀 없었습니다... 전탑에서 시내 가는 길에 보여서 들어갔던 것이지요.. 날씨도 춥고 해서.. 가볍게 둘러보기만 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곳이더군요.. 어쩐지. 건물이 예사롭지 않았어요.. ^^

임청각은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살림집 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조선시대 전형적인 상류층 주택의 모습입니다. 500년간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안동 고성이씨의 대 종택 입니다. 일제강점기 철도 부설 때 50여 칸의 행랑채와 부속건물을 철거당하고도 상당한 규모로 남아있다고 합니다.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라고 불리는 안동입니다.. 안동에 관해서는 긴 말이 필요없을 정도로.. 역사적으로 가치있는 고장이지요.. 안동민속박물관 일대를 둘러보고... 안동시내까지 뚜벅뚜벅 발길을 옮겨봅니다. 물론 버스도 있지만.. 물길을 따라 불어오는 바람이 참 좋더군요.. 아무튼.. 저는 '신세동 칠층전탑' 앞에 멈춰섭니다.
이것이 그 이름하여 '신세동 칠층 전탑' 입니다. 웅장합니다.. 탑의 높이는 16.8m.. 기단 폭은 7.75m 입니다. 이 탑이 있는 동네가 '법흥동' 인것으로 미루어.. 8세기 통일신라시대에 처음 건립되었다는 '법흥사'가 있었던것으로 추측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탑 이외의 유물은 남아 있지 않습니다.
탑을 가까이 보겠습니다.. 기존에 흔히 보던 탑들과는 좀 다릅니다.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은 벽돌로 만들어진 탑입니다. '전탑' 이라는 것이 흙벽돌을 쌓아 올려 만든 탑을 말합니다.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전탑입니다. 국보 제16호 입니다. 지붕에 기와를 얹었던 자취가 있는 것으로 보아 목탑을 모방하여 전탑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탑의 기단부에는 사천왕상과 8부중상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기단 위쪽을 시멘트로 발라 놓았더군요.. 허허.. 참으로 안타까웠습니다.. 탑 옆으로 철도가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아래 보실 '임청각' 도 그렇지만.. 문화유산 옆에 철길이 지나간다는게 보기 좋지는 않았습니다. 나름의 사정이야 있겠지요.. 그래도.. 탑은 철길의 진동에 영향을 받을 것 같아 염려스럽습니다.
시멘트가 보입니다.. 그런데 저 하얀 문(?)의 정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검색을 해보니.. 탑 1층에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만들어 놓았고, 그것을 막아 놓은 것이라고 합니다.
아래에 사람들과 탑의 모습이 비교가 됩니다.. 오른쪽으로는 철길이 지나가고 있구요.. 왼쪽은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입니다. 이때는 문이 잠겨 있어서 들어가보지는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 탑이 왠지 낯익은 분이 계실듯 합니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지요.. 1박2일에 1년전쯤에 나왔거든요.. OB 팀이 통장 비밀번호 먼저 알아내서 용돈 3만원 찾았었죠..
석양을 뒤로하고.. 아래 임청각으로 가봅니다.
전탑에 이어서 '임청각' 을 찾아갑니다.. 사실 임청각에 대해서는 아무바가 전혀 없었습니다... 전탑에서 시내 가는 길에 보여서 들어갔던 것이지요.. 날씨도 춥고 해서.. 가볍게 둘러보기만 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곳이더군요.. 어쩐지. 건물이 예사롭지 않았어요.. ^^
임청각은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살림집 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조선시대 전형적인 상류층 주택의 모습입니다. 500년간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안동 고성이씨의 대 종택 입니다. 일제강점기 철도 부설 때 50여 칸의 행랑채와 부속건물을 철거당하고도 상당한 규모로 남아있다고 합니다.
집을 짓는 데 있어 그 평면구성을 일, 월, 길(日月吉) 등의 글자를 취해 지으면 좋다고 합니다. 임청각의 평 면구성을 보면 일(日)자, 월(月)자 또는 그 합형(合形)인 용(用)자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일형과 월형, 용 자형은 하늘의 일월을 지상으로 불러서, 천지의 정기를 화합시켜 생기(生氣)를 받으려는 의미를 가진다고 합니다. 팔작지붕는 한 마리의 새가 날개 짓 하는 형상을 하였다.
상해 임시 정부의 초대 국무령(국가원수)을 지낸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이 임청각에서 출생하였습니다. 독립운동가 9분이 임청각에서 출생하였다고 합니다.
숙박도 가능하다고 하는군요.. 비용은 방의 크기에 따라 다른데.. 5~20만원 정도라 합니다... 따로 주문을 하면.. 식사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임청각은 다시 한 번 가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에 간다면.. 숙박도 하고.. 맛있는 것도 먹으면서.. 여유롭게 둘러봐야겠습니다.. 아는만큼 보이고.. 보이는 것만큼 안다.. 라는 말이 딱 와닿습니다... ㅎㅎ
역시 안동은.. 한두번 봐서는 안되겠더군요.. 이번에는 추운 겨울에 갔으니.. 다음에는 따땃한 날에 가서.. 보다 여유롭게 즐겨보고 싶습니다.. 특히나.. 찜닭 못 먹은 것이 참 아쉽더군요.. 제가 주로 혼자 잘 다니는데.. 그리고 아무곳에서나 잘먹고 잘 돌아다닙니다.. 그런데.. 찜닭은 양이 좀 되는지라.. 혼자 먹기가 그렇더라구요.. 누군가와 같이 가면 더 좋았을 것이란 생각이 많았습니다.. ^^
이번주말 잘 보내면.. 설날 연휴가 찾아옵니다.. 저는 명절이라고 특별한 것도 없네요.. ^^.. 아무튼.. 주말 잘 보내시구요.. 명절 준비도 잘 하시길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
아무래도.. 임청각은 다시 한 번 가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에 간다면.. 숙박도 하고.. 맛있는 것도 먹으면서.. 여유롭게 둘러봐야겠습니다.. 아는만큼 보이고.. 보이는 것만큼 안다.. 라는 말이 딱 와닿습니다... ㅎㅎ
역시 안동은.. 한두번 봐서는 안되겠더군요.. 이번에는 추운 겨울에 갔으니.. 다음에는 따땃한 날에 가서.. 보다 여유롭게 즐겨보고 싶습니다.. 특히나.. 찜닭 못 먹은 것이 참 아쉽더군요.. 제가 주로 혼자 잘 다니는데.. 그리고 아무곳에서나 잘먹고 잘 돌아다닙니다.. 그런데.. 찜닭은 양이 좀 되는지라.. 혼자 먹기가 그렇더라구요.. 누군가와 같이 가면 더 좋았을 것이란 생각이 많았습니다.. ^^
이번주말 잘 보내면.. 설날 연휴가 찾아옵니다.. 저는 명절이라고 특별한 것도 없네요.. ^^.. 아무튼.. 주말 잘 보내시구요.. 명절 준비도 잘 하시길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
728x90
300x250
그리드형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의 모든 것을 한번에 본다.. 안동민속박물관 (84) | 2011.03.04 |
---|---|
울릉도에서 먹은 감동의 밥.. 홍합밥.. (78) | 2011.02.02 |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전탑..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 (62) | 2011.01.28 |
세계 속..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안동 하회마을 (74) | 2011.01.06 |
하늘과 가장가까운 다리.. 청량산 하늘다리 (98) | 2010.12.20 |
세상에서 가장 맑은 길.. 울릉도 행남해안산책로 (102) | 2010.11.18 |
댓글을 달아 주세요
탑과 임청각...모두 선조들의 발자취를 느낄수 있는 것 같네요...!
2011.01.28 09:53하지만 이런 소중한 문화재의 관리 소홀해서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휴..
문화재 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생각은 안들더라구요..
2011.03.15 20:03 신고기차길도 바로 옆이고.. 도로도 가깝고... 관리가 잘 되면 좋겠습니다..
이런 곳이 있었군요.
2011.01.28 10:05 신고사진으로 봤을 때도 꽤 규모가 크다고 생각했는데 원래는 더 크다니 예전의 모습이 궁금해집니다^^;
탑이 규모가 꾀 크더라구요..
2011.03.15 20:02 신고이런 탑을 세울 정도의 절이라면.. 그 규모를 짐작하게 합니다.. ^^
전탑이 제 생각보다 훨씬 크군요~! 옆에 사람이 서있으니 그 크기가 짐작이
2011.01.28 12:10갑니다..ㅎㅎ
만약 법흥사가 그곳에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고 상상합니다...없어진거라면
정말 안타깝네요...
저도.. 전탑을 보고서.. 그 크기에 좀 놀랐지요..
2011.03.15 20:01 신고법흥사 지금까지 있었으면.. 정말 엄청난 절로 남아있었을 것 같습니다.. ^^
저희 아버지 고향이 안동이신데 반갑네요^^!!
2011.01.28 12:11저번에도 라오니스님이 안동관련 포스팅 올리신거 봤었는데^^
전통적인 유물이 많이 남아있는 안동엔 볼 거리가 참 많죠^^
안동에 머문 시간은 짧았는데.. 워낙 고풍스런 곳인지라..
2011.03.15 20:00 신고포스팅 할 것들이 참 많더라구요.. 그래서 더 좋은 안동입니다.. ^^
집을 지을때 일,월,길 등의 글자 형태를 취하면 좋다는 정보도 알게되었네요!
2011.01.28 12:35 신고그런 점을 고려하여 만드는 데에는 다 나름의 지혜가 숨어 있는 거겠죠?!
칠층전탑의 모습이 참 단아해서, 보는 사람의 마음이 좋아지는 군요.. ^^
집을 지을 때부터.. 생활 하나하나까지
2011.03.15 20:00 신고조상님들의 지혜가 안 담긴 곳이 없지요.. ^^
사람과 비교해서 사진을 보니 규모가 상당한 탑이네요...벽돌로 쌓아올린것도 특이하구요..
2011.01.28 13:18 신고오늘도 라오니스님 덕분에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PLUSTWO 님에게 좋은 정보가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2011.03.15 19:59 신고웅장함과 독특함이 함께 하기에.. 더욱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탑입니다.. ^^
어디서 마니 본 탑인가 했더니, 예전에 교과서에서 본 것도 같아요~
2011.01.28 13:21 신고아이가 크면 안동에 꼭 데려갈 볼 생각이에요~
안동과 경주 꼭 가보고 싶어요~ㅎ
그러고보니.. 교과서에서도 본 것 같습니다... ㅎㅎ
2011.03.15 19:58 신고안동과 경주는 교육적으로 꼭 가봐야 할 곳 같습니다.. ^^
It’s a great tip on Do It yourself stuff. Thanks!
2011.01.28 13:42잘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2011.03.15 19:57 신고행복한 봄 날 되시길 바랍니다.. ^^
안동이 외가인데도 불구하고 아직 가보지를 못했네요...아주 웅장하네요~~
2011.01.28 14:21안동 중심부에서 살짝 벗어나 있어서.. 가보지 못하셨을 듯 합니다..
2011.03.15 19:57 신고선민이와 함께.. 따뜻한 봄날 안동 나들이 해보심은 어떨지요..
크기가 가늠이 잘 안되었는데..
2011.01.28 14:33 신고사람과 비교를 하니 엄청나네요..^^
방송에서 보던 것 하고는 달리..
2011.03.15 19:55 신고실제로 굉장히 웅장하고.. 커다란 탑이었습니다.. ^^
임청각이 아주 인상깊습니다~ㅎㅎ
2011.01.28 17:29일부가 철거가 되었는데도 저런 규모라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날씨가 좀 더 따뜻하고.. 시간 여유가 있으면..
2011.03.15 19:55 신고임청각을 꼼꼼히 둘러봤을텐데.. 그렇지 못해서 아쉽습니다.. ^^
그 원형이 훼손된 것이 너무 아쉽네요.~~~
2011.01.28 20:36 신고지금이라도 이 귀한 문화재가 잘 보전되었으면 합니다.
문화재가 잘 보전되어야 하는데..
2011.03.15 19:54 신고철길이 바로 옆이라.. 좀 불안불안 합니다...
1박2일에서 본 기억이 나네요 맞죠
2011.01.28 20:48 신고1박2일 좋아하시는가 보군요..
2011.03.15 19:54 신고요즘 1박2일을 잘 못봐서 아쉽습니다.. ㅎㅎ
우리나리 현존 최고 전탑 칠층전탑과 임청각
2011.01.28 21:45 신고잘배우고 갑니다.
자이모님에게 작게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11.03.15 19:53 신고꽃샘추위 감기 조심하시구요.. ^^
라오니스 덕분에 즐거운 안동여행하고 갑니다..
2011.01.29 08:32 신고즐거운 휴일되세요.^^
저의 안동 여행길에 함께 해준 Boan 님 고맙습니다..
2011.03.15 19:53 신고앞으로 다른 여행길에도 함께 해주실 거죠? ㅎㅎ
아... 제가 오늘 올린 타이페이 101과 좀 비슷해 보이는데요? ㅋㅋ
2011.01.29 08:48 신고타이페이에도 비슷한 것이 있다고 하니 재밌습니다...
2011.03.15 19:51 신고중국과 가깝게 있기에 가능할 것도 같습니다.. ^^
세월이 숨결이 그대로 묻어 나와 있는 곳이네요.
2011.01.29 11:15 신고언제 한 번 안동도 가봐야헸는데요. 요즘 구제역
때문에 여기 저기 돌아다니기도 힘든 상황이더라구요.
구제역.. 참 질긴 녀석입니다..
2011.03.15 19:51 신고날 따뜻해지고.. 구제역이 사라지면.. 안동 꼭 방문해 보세요.. ^^
문화재 복구한다 하고선 시멘트를 바르는건 영 맞질 않네요!
2011.01.30 05:05 신고그런 잘못된 복구가 많이 있더군요..
2011.03.15 19:50 신고이제는 그런 우매한 짓은 안하리라 믿습니다...
8세기에 지었다면 1,200-1,300 연이 되었다는 얘기네요. 저런 고택 유적이 잘 보존되어 기쁩니다. 잘 보존되기 바랍니다.
2011.01.30 16:28안동 곳곳에 역사 유적들이 가득하더군요..
2011.03.15 19:49 신고그러한 유적들이 잘 보전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2011.01.31 15:26나중에 알고보니.. 임청각이 의미가 남다른 건물이더군요..
2011.02.26 17:17 신고역시 아는만큼 보이는 것 같습니다.. 저는 연륜이 부족해요.. ㅎㅎ
안동에.. 전탑이 몇 개 더 있더군요.. 시간이 있었다면..
그 탑들을 비교해 보고 싶었는데.. 못해서 아쉽습니다..
그래도 대표적인 것 봐서.. 다행인것도 같구요.. ㅎㅎ